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27

[DB] 데이터베이스의 언어 데이터베이스 언어 데이터베이스는 어떻게 다룰 수 있을까요? DBMS는 사용자가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다룰 수 있도록 언어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역할에 따라 작게는 두 가지, 크게는 세 가지로 구분하는데요. DDL(데이터 정의 언어)과 DML(데이터 조작 언어), DCL(데이터 제어 언어)입니다. 현대 데이터베이스 언어는 자연어와 유사한 형태의 SQL로 표준화되었습니다.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베이스 객체의 생성, 수정, 삭제를 위한 언어입니다. DDL 의 요구조건을 살펴보겠습니다. 데이터 모델에 따라 데이터의 논리적 구성이나 특징을 정의할 수 있어야 하며 데이터가 기억장치에 저장되도록 데이터의 물리적 구성을 정의 가능해야 합니다. 또 물리적 구성을 논리적 구.. 2023. 3. 7.
[DB] DBMS의 구조와 아키텍쳐 지난번 포스팅에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자기 기술성을 가진다고 말씀드렸습니다. 또 사용자의 입맛에 맞는 데이터만 조회할 수 있도록 다중 뷰를 제공한다고도 말씀드렸죠. 오늘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구성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DBMS의 구조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이해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관점에 따라 외부단계, 개념단계, 내부단계 이렇게 세 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단계별로 다른 추상화를 제공합니다. 외부단계(External Level) 실제 사용자가 필요한 데이터를 볼 수 있는 부분으로 사용자 뷰를 나타냅니다. 전체 디비의 한 논리적인 부분으로 Sub Schema라고도 합니다. 하나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는 여러 개의 외부 스키마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더라도 사용자들.. 2023. 3. 7.
[자취요리] 닭갈비 안녕하세요~ 씨위드입니다. 지난번 홍게를 협찬해 주셨던 피터 씨께서 저희 집으로 닭갈비를 보내셨지 뭐예요? 해서 닭갈비 제작기를 가지고 왔습니다. 참고로 남자친구가 아니라도 협찬은 가능하니 댓글 남겨주세요~ 성심성의껏 리뷰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그럼 시작해 볼까요? 먼저 닭갈비를 꺼내보겠습니다. 이제 닭갈비에 넣을 채소를 준비해 볼까요? 저는 당근, 고구마, 마늘, 양파, 대파, 떡, 양배추를 준비했습니다. 각각의 재료들을 먹기 좋게 썰어줍니다. 먹기 좋게 썰었으니 냠. 오늘은 제 요리 처음으로 마늘이 등장했습니다. 먼저 마늘 기름을 내기 위해 마늘을 볶아보겠습니다. 팬에 마늘을 넣고 마늘이 노릇해질 때까지 달달 볶아주세요 마늘이 어느 정도 볶아졌으면 닭갈비, 당근 그리고 고구마를 먼저 넣어주겠습니다. .. 2023. 3. 7.
[Algorithm] 알고리즘의 개념과 자료구조 알고리즘이란? 주어진 문제 해결 및 문제 해결에 필요한 절차와 방법을 알고리즘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절차란 어떠한 문제 해결을 위해 정해진 일련의 절차이며 계산 실행을 위한 단계적 절차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즉, 문제 풀이에 필요한 계산절차 또는 처리과정의 순서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선택하기 위해선 먼저 자료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자료구조 자료구조는 데이터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표현, 조직화하는 방법입니다. 좋은 프로그램을 위해서는 적절한 자료구조와 적절한 알고리즘이 필요합니다. 기본적인 자료구조는 선형(linear)자료구조와 비선형(non-linear) 자료구조로 나뉘게 됩니다. 선형 자료구조는 이름 그대로 선, 즉 한 줄로 나열할 수 있는 자료구조입니다. 반대로 비선형은 .. 2023. 3. 6.
728x90